티스토리 뷰

2025.01.23

UXUI 디자인, UXUI 디자이너, 디자인씽킹


시간표 & 목표

오늘 일정은 오전에 튜터님과 1on1때 할 질문을 생각할 생각이었는데 1on1 시간이 뒤쪽으로 배치되서 천천히 생각해보기로 했다.

오늘 목표는 UXUI 입문 강의 1주차를 다 듣고 과제까지 마치는 것이었다.

그래서 오전부터 저녁시간 전까지 총 2주차 강의를 수강하였다.


디자인 카타

 

나는 B가 더 좋은 UI라고 생각을 했다.

B가 상단 문구 때문에 테마가 더 잘 드러나는 것 같았다.

이미지도 더 크게 들어와서 상품에 대해 더 흥미를 끄는 것 같았고,

좌우로 스크롤과 더 보기를 제공해서 밑으로 많이 스크롤하지 않아도 다양한 상품들과 테마를 볼 수 있어서 더 좋다고 생각하였다.

 

A는 내가 원하는 상품을 한 번에 담을 수 있다는 점

장바구니 버튼이 눈에 띄어서 찾기 쉽다는 점이 좋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소비자한테는 너무 구매를 유도하는 것 같아서 부담스러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B에 비해 다양한 상품을 보여주지는 못하는 것 같았고 상단 문구도 어떤 상품인지 한 눈에 알아보기엔 불편하다고 생각했다.

 

다른 조원 분들도 마찬가지로 B가 더 좋다고 생각하셨다.

 


오늘 배운 내용

UX/UI디자인

오늘은 UXUI 기초 강의를 수강하였다.

UXUI디자인이 무엇인지부터 UXUI디자인의 역사, UXUI디자이너가 하는 일 등 이론적인 내용을 주로 배웠다.

 

-UI 디자인

UI는 User interface의 약자이다.

사용자가 제품에 접촉하는 지점을 디자인이다.

주로 화면의 전체적인 구조나 시각적인 요소를 디자인함

 

-UX 디자인

User Experience의 약자로 사용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인 경험이다.

주로 제품에서 어떠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거나 특정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품이나 서비스, 브랜드를 이용할 때 느끼는 경험들도 UX에 포함된다.

 

UX/UI디자이너가 하는 일

-UI디자이너

화면의 전체적인 구조와 시각적인 요소를 디자인한다.

주 업무는 레이아웃, 색상, 크기와 정렬, 컴포넌트라고 부르는 버튼, 아이콘, 이미지 등을 디자인

 

-UX디자이너

사용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인 경험을 디자인한다.

사용자를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편리한 경험을 이끌어 냄

주 업무: 유저 리서치와 테스트, 정보 구조 설계, 페르소나와 유저 시나리오 작성

UI디자이너보다 조사와 분석의 비중이 큼

 

-프로덕트 디자이너

UI와 UX를 포함하여 제품 전반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사람

제품의 특정 부분이 아니라 사용자가 경험하는 제품의 시작과 끝 모두를 담당하며, 반복적인 개선을 통해 제품을 고도화하는 일을 함.

주 업무는 문제 정의, 가설 설정, 솔루션 도출, 테스트

 

디자인 가이드라인

일관된 디자인을 하기 위한 지침서로 디자인할 때 지켜야 할 원칙과 규칙 제안한다.

컬러, 버튼, 폰트, 컴포넌트 디자인의 스타일부터 브랜드 철학이나 디자인 원칙까지 다양한 것이 포함된다.

ex) 애플- Human Interface Guidlines, 구글- Material Design

 

디자인 가이드라인 장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하게 유지한다.

디자이너 간 결과물을 상향 평준화 시킨다.

반복 업무를 줄여서 효율적이다.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다.


디자인씽킹

아이디어를 빠른 시간에 눈에 보이는 것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다.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문제를 찾고 제품을 만들어 검증하는 과정이다. 필요에 따라 돌아오거나 반복하기도 한다.

 

1. 공감하기 (Empathy)

인터뷰나 관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이해하는 단계이다.

 

2. 문제 정의하기 (Define)

공감으로 얻은 정보를 해석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의미 있는 결과를 얻어야 하기에 정확하게 문제 정의를 해야한다.

 

3. 아이디어 발산 (Ideate)

다양한 아이디어 중 가장 적합한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4. 프로토타입 만들기 (Prototype)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로 개발하는 단계이다.

최대한 빠르게 아이디어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5. 테스트하기 (Test)

프로토타입을 사용자가 직접 사용해 보게 하고 피드백을 받는 단계이다.

가설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확인하고 다시 전으로 돌아가 다듬는다.


오늘 하루를 돌아보며

오늘 학습을 통해 디자인씽킹의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알게 되었고,

UX/UI디자이너와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차이점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오늘은 학습하면서 크게 어려웠거나 막히는 부분은 없었다.

강의도 2주차까지 들어서 뿌듯하기도 하였고 복습할 여유가 생겨서 좋았다. 

하지만 집중력이 많이 떨어져서 강의 듣기가 힘들었고 오전부터 낮까지 계속 졸려서 힘들었다.

실습 없이 이론으로 된 내용이라서 그런지 더 졸렸던 것 같다. 

 

내일은 좀 더 강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일찍 잘 예정이다.

또한 집중력을 위해서 아침에 일어나서 1시간 동안은 핸드폰을 안해볼 예정이다.


내일 할 학습

UXUI 입문 강의 2주차 과제 제출

UXUI 입문 강의 1-2주차 복습

아티클 분석하기

디자인 카타 진행하기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