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5UI 디자인 프로젝트 사용자 VOD와 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통해서 SRT앱을 사용하면서 겪은 불편함을 찾아보았다.그리고 비슷한 문제점들끼리 묶어서 나열해본 결과 구간 및 시간 선택 부분과 탑승권 확인 부분이 가장 문제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그래서 우리 팀은 구간 및 시간 선택을 할 때 매번 같은 행동을 반복해야한다는 문제점과탑승권을 확인할 때 필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핵심 문제로 설정을 하였고팀원 각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담은 와이어프레임을 제작해서 비교하기로 하였다.휴일 동안에 와이어프레임을 제작해서 오늘 오전에 팀원들과 공유했다.팀원들이 봤을 때 어떤 내용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와이어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완성도 있게 제작하였다.그리고 내가..
2025.02.28UI 디자인 팀 프로젝트오늘도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사용자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주 사용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고자 하였다.그래서 팀원들과 이 인터뷰를 통해 어떤 정보를 얻고 싶은지, 어떤 내용에 대해 질문하면 좋을 지 논의하면서 인터뷰 질문지를 만들었고,튜터님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튜터님이 말씀하시길, 주 타겟층을 명확하게 잡은 것은 좋지만 인터뷰를 진행하기에는 딱 맞는 사용자를 찾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의견을 주셨다. 그래서 인터뷰 대상에게 시나리오를 주고 퀘스트를 수행하게 하는 방식으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을 알려주셔서 약간 부담이 덜어졌던 것 같다. 튜터님께 피드백을 받기 전에는 진행이 더디고 헤매는 느낌이 조금 들었는데 피드백을 통해 ..
2025.02.27팀 프로젝트 튜터님께 질문을 하고 느꼈던 점어떤 방향으로 조사 했는지 왜 하는지에 대한 목적이 있어야한다.스스로 생각하고 답변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우리가 자료를 조사하고 취합하는 과정이 있지만, 왜 조사해야 하는지 이해하고, 어떤 방향으로 진행해가야할 지 고민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꼈다. 또한 자료를 조사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료를 보면서 왜 이러한 결과가 나왔을 지, 다른 내용과 어떤 연관이 있을 지 등을 고민하면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수정할 부분주사용자를 명확하게 설정해야한다.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한다. Ex. 통계자료 등)집중적으로 문제를 찾아볼만한 핵심 기능에 대해 생각해본다.우리가 찾은 핵심 기능을 사..

2025.02.26UI 디자인 프로젝트하루 목표선정한 서비스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한다.사용자를 파악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need와 pain point를 파악하는 단계서비스 목적, 주요 기능, 제공하는 가치와 차별점을 분석하고, 사용자 리뷰를 통해 개선할 부분이 있는지 일차적으로 확인한다.프로젝트 앱 선정진행할 앱으로 SRT앱을 선정하게 되었다. 수서 고속철도 SRT의 승차권 예약·발매 어플, 주로 승차권 예발매를 하는 앱이다. 선정하게 된 이유팀원들이 다 사용해본 앱 (소통이 수월함)앱스토어의 평점이 1~2점대이다.교통 앱 중에서도 이탈률이 높은 편SRT의 주요 기능차권 예매, 결제 및 환불, 승무원 호출, 지도형 출·도착역 선택, SNS 로그인 기능 제공SRT의 주요 사용자 (진행중)데스크 리서치와 ..
2025.02.25클론디자인, UI 요소, 컴포넌트하루 계획디자인 카타저는 B를 선택했습니다.저는 CTA 버튼과 배경의 색상대비를 결정하게 되는 기준이 중요도, 가독성이라고 생각했습니다. A는 제일 핵심이 되는 버튼을 눈에 잘 띄게 하는 것에 초점을 둔 것 같습니다. 색상 대비를 통해 버튼을 더욱 더 강조하여 사용자가 행동하게끔 유도하는 것 같습니다.B는 가독성에 초점을 둔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흰색 배경과 검정 글씨의 대비로 A보다 내용이 더 눈에 잘 들어오는 느낌이었다. A처럼 버튼이 확 눈에 띄지는 않지만 보통 사용자들은 행동하기 전에 어떤 것과 연관된 것인지 확인하기 때문에 가독성이 뛰어난 B를 선택했습니다.다른 조원 분은저는 B를 선택하셨다. a는 다크모드 같이 느껴져서 평소에 사용한다면 밝..

2025.02.24컴포넌트 범위, 컴포넌트 분석, 컴포넌트 구성하루 계획디자인 카타저는 B를 선택했습니다.B의 메뉴 배치가 더 컨텐츠에 집중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메뉴가 쓸 데 없는 공간을 차지하지도 않고 뒤에 있는 컨텐츠도 잘 보이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컨텐츠 제목이 채널 이름보다 위에 나타나면서 컨텐츠 > 제목 > 채널 순으로 시선이 옮겨가면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더 이끌어 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A는 시선에 흐름에 따라 배치하여 순서대로 읽어 내려가게끔 설계했습니다. 또한 메뉴가 더 잘 눈에 띄게끔 한 배치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메뉴가 밑에 있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답답한 느낌을 주고, 메뉴가 컨텐츠를 가려져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

2025.02.21레이아웃, 그리드, 해상도하루 계획학습 목표1-3 강의 듣기1-3 강의 과제 진행 수업 목표레이아웃에 콘텐츠와 UI 요소를 배치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화면 구성 요소를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레이아웃해상도해상도는 화면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스크린의 가로 픽셀수 x 세로 픽셀 수를 기준으로 표현한다.해상도를 선정할 때는 스크린 점유율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StatCounter에서 조회 가능 또한 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탑 등 다양한 기기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과 가변 영역디자이너는 해상도에 따라 요소의 크기와 여백을 어떻게 변하게 할지를 고민하면서 작업해야한다. 고정해상도가 커져도 정의한 수치값이 일정하게 유지한..

2025.02.20UI 디자인의 기본컬러, 타이포그래피, 아이콘하루 계획디자인 카타저는 A를 선택했습니다.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물건을 구매하는 커머스의 경우에는 장바구니에 담기나 구매하기 버튼이 제일 눈에 띄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공유 기능이 장바구니 기능만큼 중요한 기능은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오른쪽 상단에 공유 버튼을 넣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참고하기 위해서 여러 커머스 앱들을 찾아보았는데 쿠팡이나 에이블리, 아이디어스 등 대부분의 앱에서도 장바구니 및 구매 > 찜 기능 > 공유 순으로 중요도에 따라 위계를 설정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B는 장바구니에 담기 버튼 옆에 공유 버튼이 있어서 접근성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공유를 통해 상품을 더 많이 알릴 수 있다는 점은 좋다고 생각..

2025.02.19UI디자인의 핵심 원리하루 일정디자인카타저는 A를 선택했습니다.A는 직관적인 느낌이라 로고만 보더라도 어떤 앱인지 쉽게 알아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보기만 해도 무슨 앱인지 잘 알 수 있어서 스타트업이거나 사용자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앱에서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컨텐츠로 확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B는 컬러나, 알파벳으로 브랜드적인 부분을 강조한 것 같습니다. 알파벳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로고만 봐서는 무슨 앱인지 알 수 없기에 넷플릭스, 구글, 현대 백화점처럼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이나 인지도가 있는 앱에서 사용하는 것 같았습니다. 보통 그런 앱들은 이 앱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로도 컨텐츠를 확장하는 경우가 많기에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 시키고 통..

2025.02.18과제 제출, UI키트, 프로토타입 하루 계획디자인 카타저는 A를 선택했습니다.A는 서로 대화할 때 상대방이 입력 중이라는 것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화할 때 상대방이 대답하고 있다는 것을 실시간으로 알려줘서 중간에 사용자가 앱을 나가지 않고 머무르게끔 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상대방의 말을 다 듣고 대답하게 되기에 실제 대화를 할 때처럼 대화를 주고받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소통이나 커뮤니티에 중점을 둔 앱에서 사용하기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고 공적인 상황보단 사적인 상황에서 사용하기에 더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입력 중이 계속 뜨면 상대방이 반응을 기다리게 되다보니 사용자에게 부담감을 줄 수 있다는 점은 아쉽게 느껴졌습니다.B는 채팅 입력 중에 표시가 뜨지 ..